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도널드 트럼프는 그는 누구인가? 어떻게 대통령이 되었나?

by 멋중아 2025. 4. 9.
반응형

🧒 1. 어린 시절과 가정환경

  • 출생: 1946년 6월 14일, 뉴욕 퀸즈 출신
  • 가족 배경: 아버지 프레드 트럼프(Fred Trump)는 독일계 미국인 부동산 개발업자.
    • 뉴욕 지역에서 중산층 주택을 대량 건설하며 큰 부를 쌓았고, 트럼프 가문은 이미 부유한 가문이었음.
  • 청소년기: 반항적 성격과 문제 행동으로 인해, 13세 때 군사학교인 뉴욕 군사학교로 전학.
    • 여기서 군기, 권위, 경쟁의식을 익히며 리더십 감각을 키움.

 

🎓 2. 교육과 사업가로의 출발

  • 대학교: 펜실베이니아 대학교 와튼 스쿨(경제학 전공, 1968년 졸업)
  • 졸업 후 아버지의 부동산 회사에 합류해 사업 시작.
    초기엔 브루클린, 퀸즈 등 외곽 지역의 임대 아파트를 관리·개발.

 

🏙️ 3. 부동산 재벌로의 도약

트럼프는 아버지의 사업 기반을 넘어서, 맨해튼의 고급 부동산 시장에 뛰어들면서 주목받기 시작해요.

대표적인 프로젝트들:

  • 트럼프 타워(1983): 뉴욕 5번가에 위치한 초고급 상업·주거 복합 빌딩. 트럼프 브랜드의 상징.
  • 카지노 사업 확장 (1980~1990년대): 아틀랜틱시티의 트럼프 플라자, 트럼프 타지마할 등.
  • 미디어 등장: 자서전 『Trump: The Art of the Deal』 (1987)이 베스트셀러.
    이후 그는 미국 내 대표적인 '자수성가 성공 신화'의 아이콘이 됨.

💡 브랜드 전략:
트럼프는 자기 이름을 상품처럼 사용하며, ‘트럼프=성공, 부, 고급’ 이미지를 브랜딩함.

 

📺 4. 미디어 스타로 성장

『The Apprentice (2004~2015)』

  • 트럼프는 NBC 리얼리티 프로그램 <어프렌티스>에서 호스트 겸 심사위원으로 대중적 인기를 끌었어요.
  • 명대사 "You're Fired!"는 전 국민이 아는 유행어가 되었고,
    트럼프는 “비즈니스형 리더”, “실행력 있는 CEO” 이미지로 자리 잡습니다.

 

🏛️ 5. 정치 입문과 공화당 경선 돌풍

  • 정치 성향: 과거 민주당, 공화당, 개혁당 등을 오가며 정치에 간헐적으로 발언하긴 했지만,
    본격적인 출마는 2015년 6월, 공화당 대선 경선 출마 선언에서 시작됨.
  • 주요 공약과 메시지:
    • “미국을 다시 위대하게 만들자 (Make America Great Again)”
    • 반이민, 보호무역, 중국 견제
    • 워싱턴 정치 기득권 세력 비판
    • 소셜미디어를 통한 대중 직거래 정치

📌 차별화 포인트:
정치 경험은 전무했지만, 트럼프는 강한 카리스마, 대중친화적 언어, 기존 정치인들과 완전히 다른 행보로 보수 유권자들의 지지를 끌어모았어요.

 

🗳️ 6. 2016년 미국 대통령 당선

  • 상대: 민주당 힐러리 클린턴
  • 결과:
    • 전체 득표에서는 밀렸지만, 선거인단 투표에서 승리해 제45대 대통령에 당선됨.
    • 정치인 출신이 아닌 사업가 출신의 최초 대통령.

📌 주요 승리 원인:

요인설명
🔥 반기득권 정서 기존 정치권 불신 심화
👨‍🏭 제조업 부활 약속 러스트 벨트 지역에서 압도적 지지
📲 SNS 활용 기존 언론 우회, 트위터로 직통 소통
📉 힐러리의 신뢰도 하락 이메일 스캔들 등

🏛️ 7. 대통령 재임 중의 특징

  • 트럼프는 임기 동안 강력한 보호무역, **미국 우선주의(America First)**를 내세웠어요.
  • 미중 무역전쟁, 멕시코 국경 장벽 건설, NATO 분담금 압박, 코로나 대응 논란 등 굵직한 정책과 이슈로 세계를 뒤흔듦.

 

8. 현재 미국내 트럼프에 대한 평가는

 

최근 미국 내에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에 대한 평가는 다양한 이슈로 인해 변동하고 있습니다. 여론조사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의 전반적인 지지율은 하락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4월 초 Reuters/Ipsos 조사에서는 지지율이 43%로, 이는 재임 이후 최저치입니다.

정책별로 살펴보면:

  • 이민 정책: Associated Press-NORC 센터의 조사에 따르면, 미국 성인의 약 절반이 트럼프 대통령의 엄격한 이민 정책을 지지하고 있습니다.
  • 경제 정책: 같은 조사에서, 관세 부과와 같은 경제 조치에 대해서는 대다수가 부정적인 견해를 보였습니다. 특히, 소비자 신뢰 지수가 1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하며 인플레이션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최근 주요 사건들:

  • 대규모 시위: 4월 5일, 'Hands Off' 운동의 일환으로 미국 전역에서 수백만 명이 참여한 시위가 있었습니다. 이들은 트럼프 행정부의 권위주의적 행보와 사회 복지 프로그램 축소에 반대하며 목소리를 높였습니다.
  • 3선 도전 논란: 트럼프 대통령이 헌법상 제한된 2선 임기를 넘어 3선에 도전할 가능성을 시사하며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이를 실현 불가능한 주장으로 평가하지만, 정치권에서는 이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

전반적으로, 트럼프 대통령에 대한 미국 평가는 정책과 최근 행보에 따라 엇갈리고 있으며, 지지율은 하락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 결론: 트럼프의 대통령 당선은 '반(反)정치' 시대의 상징

도널드 트럼프는 부유한 집안에서 태어났지만, 대중적 인지도, 미디어 감각, 과감한 발언과 쇼맨십,
그리고 시대 분위기(정치 염증, 경제 불평등)에 올라타면서 대통령 자리까지 올랐습니다.

그는 전통적인 정치인의 모습과는 달랐고, “정치판을 바꾸겠다”는 이미지로 미국 대중의 지지를 끌어냈습니다.

반응형